1. 포토스케이프 저장하기
이미지를 작업 후 이미지를 저장해야 한다면 포토스케이프 우측 하단의 <저장>을 클릭합니다.
저장 메뉴가 나타납니다.
<저장>
<저장된 폴더에 저장>
<다른 이름으로 저장>
<프로젝트 저장> .... 등등의 메뉴가 나타납니다.
여기서 <다른 이름으로 저장>을 클릭합니다.
저장하고 싶은 위치를 선택합니다
<파일 이름>을 씁니다.
<파일 종류>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<저장>을 하면 됩니다.
저장 메뉴가 다양합니다.
이미지 파일 종류도 많습니다. 나중에 다시 살펴보겠습니다. ^^
2. 좀더 빠르게! 프로처럼 단축키 사용하기 Ctrl + S
키보드의 Ctrl + S를 동시에 누르면 저장 메뉴창이 바로 나타납니다.
처음에는 단축키가 어색하고 시간이 더 들어 보입니다.
그런데 익숙해지면 작업 속도가 엄청 빨라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.
특히 포토샵 등의 타 프로그램과 단축키가 동일한 것이 많아 타 프로그램 작업 시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3. 저장 메뉴를 보자
1) 저장 메뉴에서 <저장>은 활성화되는 경우도 있고 안되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.
활성화 되는 경우는 해당 이미지를 처음으로 작업했을 때
또는 해당 이미지에 변동사항(수정사항)이 발생하면 나타납니다.
<저장>을 선택하면 이미지가 있는 곳에 파일의 현재 이름으로 저장됩니다.
2) 저장 메뉴에서 <지정된 폴더에 저장>은 이전에 지정에 놓은 저장 폴더에 저장하게 됩니다.
저장 폴더를 변경하고 하고 싶은 면 오른쪽 점이 있는 곳을 클릭하여 변경 및 설정할 수 있습니다.
3) 저장 메뉴 중에서 <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>는 가장 많이 쓰는 저장 메뉴입니다.
이미지의 저장 위치와 파일명을 변경 설정할 수 있습니다.
4) 프로젝트 저장하기는 유용한 저장입니다.
특히 많은 작업이 이루어졌거나 수정이 많고 자주 해야 하는 경우 매우 유용한 저장입니다.
간단히 말하면 임시저장 같은 것입니다.
편집 등 여러 가지를 한 후 <프로젝트 저장하기>를 하면 나중에 수정 등등의 후반 작업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.
작업 후 수정 등의 작업이 많은 경우 또는 나중에 재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우는 이 저장법을 추천합니다.
단점은 용량을 좀 많이 차지합니다.
5) JEPG 저장 품질
이미지 저장 시 JEPG 파일로 저장할 경우의 선택이라고 보면 됩니다.
당연히 수치 값이 100이면 품질이 좋고 0에 가까우면 품질이 떨어지겠죠.
이때 <JEPG 미리 보기>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타납니다.
원본의 파일 크기와 저장 품질 조정 후의 파일 크기를 미리 알고 설정할 수 있습니다.
6) 저장 메뉴에서
<원본 사진을 백업합니다>는 원본 사진의 백업을 설정합니다
그리고 원보 사진이 보관된 <사진/PhotoScape X>를 클릭하면 작업 전 원본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.
<메타데이터 정보를 보존합니다>는 이미지의 파일 이름, 파일 크기, 수정 날짜, 이미지 정보, 카메라 제조사, 카메라 모델 노출값 소프트웨어 등등의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보존하는 것을 말합니다.
<파일 날짜를 수정하지 않습니다>는 말 그대로입니다
<DPI>는 모니터나 프린터의 해상도 지정합니다. 활성화를 체크하면 다양한 값의 설정값이 나옵니다.
'꿀팁 IT > 꿀팁 포토스케이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포토스케이프 - 이미지(사진)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 (0) | 2021.06.08 |
---|---|
포토스케이프 X 이미지 저장할 때 어떤 파일 확장자(형식)로 해야 할까? (0) | 2020.10.22 |
포토스케이프 X 이미지를 불러오자 (0) | 2020.10.20 |
포토스케이프 X를 설정해 보자! 02 (기본) (0) | 2020.10.18 |
포토스케이프 X를 설정해보자! 01 (기본) (0) | 2020.10.14 |
댓글